학습 자료

[Review | 요약] Chapter 2 Human Computer Interaction - brief intro By John M. Carr

수용성 연구자 2025. 1. 2. 20:58

 

 

오늘은 《The Encyclopedia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2nd Ed.》의 두 번째 챕터인
「Human Computer Interaction - brief intro」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https://www.interaction-design.org/literature/book/the-encyclopedia-of-human-computer-interaction-2nd-ed/human-computer-interaction-brief-intro

Human Computer Interaction - brief intro

Grand Old Man of HCI, Jack Carroll, explains the history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and how the field gave birth to User Experience and Interaction Design. Few people know the history of fields like UX, IxD, Usability and Human-Centered Design as

www.interaction-design.org

 
 
 

1. 저자

John Millar Carroll (존 밀러 캐럴)

  • Information Scientist
  •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의 정보 과학 및 기술 분야 교수
  • Human-Computer Interaction 연구의 창시자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7Mg8JZMAAAAJ&hl=en

John M. Carroll

Distinguished Professor of Information Sciences and Technolog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Cited by 57,011 - Human-Computer Interaction -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Work - Community Informatics - Design Research - Learning Science

scholar.google.com

 
 


 

2. 내용 요약

1) Where HCI came from

  • HCI는 1980년대 초에 등장한 인지 과학을 포괄하는 컴퓨터 과학의 전문 분야이다.
  • 전문가만이 다룰 수 있었던 컴퓨터가 상용화되면서, 컴퓨터의 유용성 결함이 두드러졌다.(HCI의 필요성)
  • 인지 공학 초기에는 Model Human Processor가 개발자들을 돕기 위해 사용되었다.

 

2) From cabal to community

  • HCI의 기술적 컨셉은 usability이다.
  • Usability는 초기의 단순히 쉽게 배우고 쓴다는 의미에서 창의성, 재미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사용자 또한 ‘사용의 용이함‘ 그 이상을 원한다.)
  • HCI is the name for a community of communities.
  • 오늘날의 HCI는 방대하고 다면적인 분야로, 사용성(usability)과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

 
3) Beyond the desktop

  • HCI는 초기 데스크탑 환경에서 벗어나 검색, 소셜 컴퓨팅,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 HCI가 데스크탑 환경을 넘어서게 한 측면 3가지
    • Desktop Metaphor의 한계
      : 아이콘 사용은 직관적이었지만, 파일의 양이 많아지면서 검색이 더욱 중요한 인터페이스로 생각되었다.
    • 인터넷 발전으로 이메일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이 컴퓨터와 소통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를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게 되었다.
    • 다양한 장치의 등장(랩탑/노트북, 휴대용 장치 등)

 

4) The task-artifact cycle

  • 사람의 필요/요구에는 끝이 없다. → 해당 요구에 부응해 디자인이 수정된다 →
    새로운 적용과 디자인은 사용자가 행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제약을 만든다 →  
    새로운 행동은 사용자의 필요/요구를 만들어낸다. (무한 굴레 … )
  • Task-artifact cycle의 반복적 과정 때문에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업 중 artifact에 지속적으로 불만을 느끼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이다.)
  • 따라서 HCI는 수렴되지 않고 계속 변화하는 열린 영역이다.
  • HCI는 가능성도 요구사항으로 파악한다. 가능성은 무한하므로 HCI의 연구 주제 또한 무한하다.

 

5) A caldron of  theory

  • HCI는 사회 및 인지 과학을 통합하는 '이론 용광로'이다.
  •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단순히 '정보 처리'로 보는 초기의 전통적 관점에서,
    개인 장치(e.g. laptop)가 사회적/물리적 연결수단이 됨에 따라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는 깊고 넓은 관점으로 확장중이다.

 

6) Implications of HCI for science, practice, and epistemology

  • HCI는 연구(research)와 실무(practice)를 통합한 것에서 나아가 '디자인(설계) 과학'으로 자리 잡았다.
  • 초기에는 연구와 실무가 별개라고 여겨졌으나, User experience design이나 interaction design과 같은
    새로운 설계 분야를 HCI가 만들어 냈다.
  • 설계는 HCI에서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이며, 과학적/인식론적 수정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이러한 패러다임을 통해 HCI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 · 실무 · 인식론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3. Keywords

  •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 사용자 편의성(usablility)
  • 사용자 경험(UX)
  • Interaction Design(설계 관점)
  • 인지 과학 & 인지 공학

 

4. 새롭게 알게 된 것들

1) Usability

  •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을 얼마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측정
  • hci 연구는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를 이해하려 하지만, usability는 그러한 필요와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시스템이 얼마나 잘 작동되고 있는 지를 측정한다.

 

2) Human factors

  •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기 위한 학문적 분야
  • 세계 2차 대전 중 군사 장비 설게를 위해 등장해서 초기에는 인간-기계 상호 작용의 감각-운동 측면에 집중되었지만,
    이후에는 인지적 및 감각적 측면이 강조되며 발전해왔다.
  • 요인(factor)은 종종 제한으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인간의 다양한 한계(인내심, 기억력, 실수할 가능성 등)를 고려한 디자인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 Human factors 분야는 사용자의 필요에 중점을 두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 자원의 배치만 신경 쓰다가, 사람이 조립을 잘못하는 것처럼 사람이 잘못한다는 걸 알게 됨
  • 사람에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사람들이 잘 할 수 있는 것과 아닌 것을 분류하명서 인간의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걸 알게됨
  • 처음에는 신체적인 것 들에만 집중하다가 hci는 정신적인 걸로도 넘어감
  • 심리학이랑 휴먼 팩터의 차이? 이학과 공학의 차이.. 심리학은 사람은 이해하는 것이라면 휴먼 팩터는 심리학 같은 이학을 활용해서 사람들에게 유용한 프로덕트를 만드는 ..
  • Ergonomics 와 휴먼 팩터의 차이? 전자는 신체 관련이고, 후자는 좀더 정신에 가까움

 
3) Model Human Processor(인간 정보 처리 모형)

  • 사람이 어떤 자극에 반응하여 근육을 움직이는 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분할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지 측정하여 둔 뒤 어떤 task를 할 때 얼마나 시간이 걸릴 지 쉽게 계산해 볼 수 있도록 만든 인지적 모형
  • 실험을 수행하지 않고도 사람이 작업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관련하여 성능을 예측할 수 있음
  • 인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기 시작..
  • 어떤 걸 보냐는 context에 따라 정형화 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거의 실패한 것이나 다름 없음

 
 
4) Cognitive Engineering(인지 공학)

  • Cognitive Engineering의 하위 분야
  • 인지라는 것은 심리학의 꽃 같은 분야. 사람의 마음이라고 넓게 볼 수 있음. Cognitive 이전에는 심리학 기반이 아니라, 사이비 과학(?) 같은(예시; 내성법) 거엿음. 자극을 줘보고, 반응이 어떻게 나오는 지 정량적으로 보는 것. 인지 혁명!! 여기까지는 cognitive science. 이게 각광받으면서 cognitive engineering이 각광 받기 시작함. 공학적인 측면이 강조되다 보니 제품을 만든다던가 하는 부분이 많음
  •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설계 접근 방식
  • 기술 사용자들의 인지 과정을 개선하는 시스템을 연구하고 설계하는 분야
  • cognitive science, human factor, hci, system engineering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결합한다.
  • 사용자의 사고 방식 이해, 인간의 전문 지식이 문제에 어떻게 적용되는 지, 복잡한 영역에서의 인지 작업 모델링 등을 목표로 한다.

 
5) Cognitive Science

  • 인간 마음과 뇌를 연구하는 학문
  • 정신을 추상적인 컴퓨팅 장치로 생각
  • 인지 기능의 기초가 되는 metal computations와 이러한 computations가 어떻게 신경 조직에 의해 구현되는 지
  • 인간의 지적 기능 구조를 묘사하는 것이 핵심 목표
  • 인지 심리학, 언어학, 컴퓨터 과학, 철학, 인류학 분야 등 다양한 학문의 접점에서 등장했다.

 
6) Artifact

  • 인간의 기술이나 인간이 수정한 모든 것을 의미한다.
  • HCI나 Interaction Design에서는 '도구'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 반의어는 "natural object"이다.
  • artefact라고도 씀

 
 
- 참고
https://story.pxd.co.kr/613

Model Human Processor (MHP,인간 정보 처리 모형)란?

Model Human Processor(인간 정보처리 모형 human information processor model,이하 MHP)란, 사람이 어떤 자극에 반응하여 근육을 움직이는데까지 일련의 과정을 분할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지 측정하여

story.pxd.co.kr

https://www.linkedin.com/pulse/relationship-bw-hci-usability-designwithpro

Relationship b/w HCI & Usabil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and Usability are closely related concepts in designing and evaluating computer systems. HCI is the study of how people interact with computers and technology, while usability measures how easy it is for people to use a sys

www.linkedin.com

https://www.interaction-design.org/literature/book/the-glossary-of-human-computer-interaction/human-factors?srsltid=AfmBOorJGxKTyPDkg7_h0QhwNntD7S5lViMLQ4K91zv3rD1I6jJ01qlo

Human factors

Human factors

www.interaction-design.org

https://www.linkedin.com/pulse/what-cognitive-engineering-b-l-william-wong

What is Cognitive Engineering?

Following my last post a few months ago, someone asked what is cognitive engineering. So, here is a short explanation.

www.linkedin.com

https://cogsci.jhu.edu/about/

About | Cognitive Science

The Department of Cognitive Science provides theoretically oriented research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toral fellows. As a fully autonomous academic unit, we provide a focused environment that is wholly de

cogsci.jhu.edu

https://www.interaction-design.org/literature/book/the-glossary-of-human-computer-interaction/artifact?srsltid=AfmBOopxWwYewL4k97E7kIECyO80bJR9UjS65KOjsDri8hM-SqequeF_

Artifact

Artifact

www.interaction-design.org